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알고리즘
- 자바 스프링
- 리눅스
- 클래스
- 스프링
- 배열
- spring
- 이클립스
- 코딩초보
- 프로그래밍언어
- 자바기초
- 프로그래밍기초
- eclips
- 초보코딩탈출
- 기초코딩
- 데이터베이스
- 스프링 기초
- Git
- Elk
- JShell
- 프로그래밍
- 메소드
- Java
- 초보코딩
- github
- JAVA기초
- 제이쉘
- 자바프로그래밍
- 컴퓨터과학개론
- 자바
- Today
- Total
목록Universirty (13)
키보드워리어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여러 문제들을 접하면서 풀어보는 맛이 있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작업의 유형과 연산의 집합을 결정하며, 이를 통해 컴퓨터를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범용의 기계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프로그램 (2) 인터넷 (3) 데이터 (4) 정보 [정답]: (1) 프로그램 ※ 컴퓨터를 이용해서 어떤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작업에 대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즉 ,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과 절차를 찾고, 이것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을 완성합니다 [02] 여러 진법의 숫자 중에서 나머지와 다른 값을 나타내는..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조합회로 조합회로는 산술 회로라고 일컬어지는 기본적인 산술 연산 회로와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각종 회로로 구별됩니다 전가산기, 디코더, 인코더,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등 주로 연산 또는 직접적인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조합 회로가 있습니다 이는 출력 값이 단순히 현재 입력 값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회로입니다 순차회로 순차 회로는 연산의 각 단계마다의 회로의 특정 상태가 저장되고 참조되는 회로이므로, 출력 값이 입력값과 기억소자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회로입니다 1비트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소장인 플립플롭을(T플립플롭과 JK플립플롭 등) 사용합니다 종류는 카운터와 레지스터가 있습니다 가산기: 두 개의 2진..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가상 기억장치 가상 기억장치란 주기억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영역보다 큰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쪼개어 실행시키기 위해 보조기억장치의 주소를 주기억장치의 주소로 변환하여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가상의 기억장치를 말하며, 보조 기억장치의 주소를 주기억장치의 주소로 변환하는 기법을 가상 기억장치 관리 기법이라고 합니다 가상 기억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행 중인 프로그램(프로세스)에 의해 참조되는 주소(가상 주소)를 변환하여 주기억장치에서 사용하는 주소 (실 주소, 물리적 주소)로 연결시켜 주는 것입니다 프로그램은 실제로 실 기억장치에서 실행되어야 하므로 운영체제가 가상 주소를 실 주소로 바꾸는 주소 변환 절차가 필요합니다 ※참고 가상 ..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정렬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출력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모호함이 없는 간단하고 컴퓨터가 수행 가능한 일련의 유한개의 명령을 순서적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그중에서 정렬(sort)이란 컴퓨터 과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응용 중의 하나로서, 주어진 데이터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 있게 재배열하는 연산입니다 정렬 방법은 정렬이 수행될 당시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법, 즉 내부 정렬(internal sort)과 외부 정렬(external sort)로 나눌 수 있는데요 내부정렬은 정렬할 데이터의 양이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해서 정렬하는 방법으로 ..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이진트리 | 완전 이진트리 | 포화 이진트리 트리부터 살펴봅시다 트리는 노드(node)라고 불리는 부분과 노드를 연결하는 가지(branch)로 구성되며, 노드 사이에는 나무뿌리 모양의 데이터의 계층적인 관계성을 갖습니다 각 노드에 있는 가지의 수를 차수(degree)라고 하며 트리의 차수란 모든 노드의 차수 중에서 제일 큰 차수를 의미하는데요 그렇다면 이진트리는(binary tree) 무슨 의미가 되나요? 트리 중에서 차수가 2인 트리를 의미하며, 모든 노드의 차수는 최대 2를 넘지 않는 것이 이진트리입니다 이진트리의 모든 노드는 최대 두 개의 서브 트리를 가지며, 각 서브트리는 왼쪽 서브 트리와 오른쪽 서브 트리로 구분됩니다 이..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컴퓨터에서 정수와 실수의 표현 방법이 무엇일까요? 컴퓨터에서 수를 표현할 때 크게 정수와 실수로 나뉩니다 정수는 소수점 이하의 값을 갖지 않는 수입니다 (ex) 42, -43는 정수 42.1, -42.1은 정수가 아니에요 정수는 양, 음의 무한대까지 범위이지만 실제로 컴퓨터에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메모리로 허용하는 범위만큼의 정수만 표현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엔 크게 두 종류, 부호 없는 정수와 부호 있는 정수로 나누어요 부호 없는 정수는 부호를 표시하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기에, n비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수의 범위는 0부터 2n승 – 1까지에요 예를 들어 8비트 정수는 2의 8승 256-1인 0부터 255까지. 만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