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제이쉘
- 메소드
- Elk
- Git
- github
- 데이터베이스
- 리눅스
- 컴퓨터과학개론
- 프로그래밍언어
- eclips
- 기초코딩
- JShell
- 배열
- 초보코딩
- 자바기초
- 알고리즘
- 초보코딩탈출
- 자바 스프링
- spring
- 프로그래밍기초
- 클래스
- 자바프로그래밍
- 스프링
- Java
- 프로그래밍
- 자바
- 코딩초보
- 스프링 기초
- JAVA기초
- 이클립스
- Today
- Total
키보드워리어
【자바】디버깅 모드 - Step over 와 Step into에 대해 알아본다 본문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이전에 살펴본 디버깅 모드에서 Step over와 Step int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버깅모드가 생소하시다면 이전 발행글에 대해 한 번 확인해주세요!
2022.10.12 - [JAVA 완전정복!!/JAVA] - 【자바】디버깅 소개
Step into | Step over
[Step over]는 해당 라인을 실행시켜 다음 라인으로 넘어갑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브레이크 포인트 시점 6을 끝내고 라인 7로 넘어간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출력 메소드가 어떤 움직임을 하는지(what happen)을 보고 싶다면 [step into]를 클릭하세요
step into를 통해 메소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수 있고 메소드의 인수가 (argument)뭔지 파악이 됩니다.
단축키는 fn + f5 / fn+ f6입니다. (Mac)
호출 스택 스레드를 통해서 현재 어떤 순서대로 작업하고 있는지 동시에 확인도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서 메소드 하나하나씩 확인해 볼 수 있는데 메인메소드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또 내가 변수입력값을 바꾸고
다른 스레드로 넘어갔을때는 어떻게 값이 바뀌는지도 확인해 볼 수 도 있습니다.
만일 위 화면처럼 변수값 임의 조정 후 메인메소드 스레드를 클릭해서 실행해보면 어떻게 될까요?
Table 값을 2로, 1부터 5단까지 출력되도록 임시로 수정했어요
콘솔에 나온 결과값이 바뀌었네요!
이건 항상 이런게 아니라 디버깅 모드를 한 상태에서만 적용되요. 내가 원하는대로 코드를 임의로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
디버깅 모드 결론
이런 연습을 통해서 디버깅모드에 이해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좀 버거울 수 있지만 디버깅 모드를 붙잡고 시간을 보내세요.
프로그램에 디버깅 모드를 적용하는것은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한 스킬입니다.
우리는 코드를 읽는것만으로 버그를 찾아낼 수 없기 때문에대부분의 개발자에게 버그를 찾는 디버깅은 굉장히 훌륭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JAVA >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캡슐화의 기본이해 - 1 (0) | 2022.11.07 |
---|---|
【자바】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 | 2022.11.05 |
【자바】디버깅 소개 (0) | 2022.10.12 |
【JAVA】이클립스 꿀팁 (Save Actions, 리팩터링) (0) | 2022.10.11 |
【JAVA】구구단표 프로그램에 더 많은 메소드 적용해보자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