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컴퓨터과학개론
- 자바 스프링
- 코딩초보
- Java
- 자바기초
- 프로그래밍
- spring
- 클래스
- 데이터베이스
- eclips
- Elk
- 스프링 기초
- 프로그래밍언어
- 메소드
- 제이쉘
- Git
- 프로그래밍기초
- JAVA기초
- 초보코딩
- github
- 기초코딩
- 스프링
- 자바프로그래밍
- 이클립스
- 자바
- 초보코딩탈출
- JShell
- 배열
- 리눅스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Spring framework (16)
키보드워리어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롬복 기능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롬복 기능 구현 (builde.gradle) 맨 처음엔 plugin으로 롬복을 다운받은 이후에 build.gradle 파일을 수정합니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org.projectlombok:lombok') } *gradle 버전이 올라오게 되면서 compile이 implementation으로 변경되었습니다. test코드를 작성할때 만약 error: cannot find symbol gr..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Auditing기능으로 자동 생성일, 수정일을 만들어 보도록 할게요. Auditing기능은 모든 Entity의 상위 클래스로 상속받게 하여 createdDate, ModifiedDate자동 관리가 됩니다. //모든 Entity의 상위 클래스로 createdDate,ModifiedDate자동 관리 //Application 클래스에 @EnableJpaAuditing 지정 @Getter @MappedSuperclass //Entity클래스들이 BaseTimeEntity 를 상속하면 필드 멤버도 컬럼으로 인식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Auditing기능 자동 포함 public ..

Rest Controller코드 테스트 해보기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 return "hello"; } @GetMapping("/hello/dto") public HelloResponseDto helloResponseDto(@RequestParam("name") String name, @RequestParam("amount") int amount){ return new HelloResponseDto(name,amount); } } 간단한 경로 /hello 경로와 /hello/dto 매핑 구현시 이를 테스트로 해본다면 다음과 같이 짜볼 수 있음. @RequestPara..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카디널러티에 대해 살펴볼게요 카디널리티(Cardinality)는 데이터베이스 용어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간의 관계에서 한 쪽 테이블의 레코드 수와 다른 쪽 테이블의 레코드 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즉, 카디널리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간의 데이터 관계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다 정도 입니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죠. 위 그림은 Country 테이블과 City테이블은 1대 다 관계로 City 테이블은 FK(foreigner)로 country_id를 갖습니다. 카디널리티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쿼리 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무결성을 위해 고려되어야..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오늘은 @어노테이션 @Entity와 @Component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Entity와 @Component Spring을 통해Web 개발 시 어려웠던 여러 가지 어노테이션들.. 그중에 @Entity와 @Component의 차이가 어떤지 궁금했습니다. @Entity @Entity는 JPA(Java Persistence API)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으로,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는 엔티티 클래스임을 표시합니다. 즉, 해당 클래스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되는 엔티티 객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Component 저는 처음 @Component를 배울 때 @Component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IoC(제어의 역전) 기능을 ..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Thymeleaf에 대해 알아볼게요. Thymeleaf Spring Boot에서 resources/templates 폴더는 기본적으로 Thymeleaf 템플릿 엔진과 연동하여 동적인 HTML 페이지를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의존성을 추가해 주시고요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thymeleaf 그리고 index.html을 한번 만들어볼게요. 지정된 resources/templates/ 이 경로로 index.html 파일을 추가해 볼게요. resources/templates/index.html에 파일이 있는 경우 파일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Controller 클래스에서 @Get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