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프링
- 자바 스프링
- Git
- Java
- 컴퓨터과학개론
- 자바기초
- 프로그래밍기초
- 프로그래밍
- JShell
- 코딩초보
- 리눅스
- JAVA기초
- 자바
- 프로그래밍언어
- spring
- Elk
- 이클립스
- 메소드
- 데이터베이스
- 초보코딩탈출
- 알고리즘
- eclips
- 초보코딩
- 배열
- 자바프로그래밍
- 기초코딩
- github
- 스프링 기초
- 제이쉘
- 클래스
- Today
- Total
목록Linux (4)
키보드워리어
안녕하세요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리눅스 탐색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root 디렉토리 최상위(root) 디렉토리 개념 존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파일 탐색기는 GUI환경. open 명령어를 통해 열 수 있음. open directory를 적으면 파일창이 열리게됨. open / 은 최상위 다이렉트를 확인해볼 수 있음 home 디렉토리 홈 안에 파일은 사용자를 의미한다. / - root 최상단 기호 ~ - home 최상단 기호 pwd 명령어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명령어이다. ls 명령어 list를 뜻하는 명령어. 디렉토리 안에 내용을 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ls 파일 또는 그냥 ls 하면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내용을 검색해준다. -l 옵션 응용 long으..
안녕하세요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랜만에 리눅스 좀 살펴볼까요? 리눅스는 거의 1년 만에 포스팅인 거 같네요 ㅎ 시작하기 앞서.. 맥북에서 chsh -s /bin/bash 명령어사용하여 bash쉘을 이용한다. 본 내용은 man 명령어를 통해서 매뉴얼을 정리해보는 카테고리이다. 매뉴얼 소개 시스템에 관한 명령어들을 찾아볼땐 man 명령어 사용한다. man 궁금한 명령어 그러면 그에 대한 문서를 확인해볼 수 있다. (*빠져나갈 땐 q버튼) 매뉴얼 탐색 및 검색 매우 긴 페이지는 스페이스바를 통해 페이지 씩 옮겨갈 수 있다. 또 재밌는건 h버튼을 누르면 less화면으로 축약해서 보여준다는 점이다. ncal -w 위 명령어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man ncal /-w 위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매..
반갑습니다~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리눅스(linux)에서 명령어에 대해 조금 살펴볼까요? 프롬프트를 통해 이뤄지는 매개변수와 인자 입력 우분투나 맥에서, 윈도우같은 운영체제에서는 특정 폴더에서 바로 터미널을 열 수 있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맥북을 쓰시는 경우에는 command + space bar를 통해 터미널을 열 수 있어요. 프롬프트 이해하기 맥의 경우 terminal을 열었을 때 왼쪽에 나와있는 글씨가 프롬프트로, @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유저명, 오른쪽에 호스트명이 있습니다. ~%가 있고 깜빡거리는 커서가 보이실 텐데요. 이건 무엇인가 쉘이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자 | 구문 여기에는 명령어가 들어가며 명령어 안에 매개변수인 인자와 옵션 ..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저희 블로그에서 처음 다뤄보는 리눅스에 대해 포스팅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명령어를 사용하면? 먼저 리눅스에 대해 알기 이전에 명령어를 통해 컴퓨터를 다루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명령어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내가 사용하는 기기를 더 깊은 곳까지 다룰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GU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에서는 내가 하는 작업들이 일대일 대응처럼 보이지만, 사실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줄로도 더 많은 작업들을 할 수 있고 컴퓨터의 핵심 영역까지 직접 다가갈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서버를 시작하기, 프로세스 관리, 숨긴 파일 다루기, DB 사용 권한 변경 등.. GUI는 예쁘지만 그렇게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