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눅스
- 프로그래밍언어
- JAVA기초
- 자바 스프링
- 자바
- 초보코딩탈출
- JShell
- 제이쉘
- 프로그래밍기초
- Java
- 자바프로그래밍
- github
- 알고리즘
- 기초코딩
- 스프링 기초
- 메소드
- 스프링
- 초보코딩
- Elk
- 컴퓨터과학개론
- 배열
- 코딩초보
- 이클립스
- 프로그래밍
- 클래스
- Git
- spring
- eclips
- 데이터베이스
- 자바기초
- Today
- Total
키보드워리어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_메인 컴포넌트 본문
안녕하세요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정말 무더웠던 여름도 지나가려 하나 봅니다. 저녁은 조금 찬기운이 느껴지는 요새인데요.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길 바래요~
그리고
오늘은 쿠버네티스 메인 컴포넌트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Node and Pod
가상머신 노드에 기본적인 타입은 pod입니다.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를 함께 묶어서 팟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pod은 컨테이너를 추상화한 개념으로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함께 묶어서 실행하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팟이 하는 일
컨테이너 위에 실행 환경 또는 레이어를 생성하는 일
쿠버네티스가 팟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교체 가능하도록 만들어줍니다.
쿠버네티스 레이어와 상호작용만 하면 됩니다.
앱 팟과 독립된 DB팟이 있습니다.
팟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만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한대의 서버 위에서 두 개의 컨테이너가 실행되며 이를 레이어로 추상화하면 위와 같다.
팟이 통신하는 법
보통 1개의 앱서비스에 1Pod이 있어 각 Pod마다 고유의 IP어드레스를 갖고 있습니다.
Node안에 app과 db가 존재하며 IP어드레스를 알고 있어 소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팟은 일시적인 특성 때문에 데이터가 금방 손실될 수 있습니다.
이때 새로운 팟은 새로운 IP주소를 할당합니다. 그래서 Service, Ingress를 사용합니다.
참고하시면 좋은 글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components/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컴퓨터 집합인 노드 컴포넌트와 컨트롤 플레인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kubernetes.io
이상 부족한 컨텐츠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내용 피드백이 있는 경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커&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Network정리, elasticsearch에 붙이기 (2) | 2023.12.02 |
---|---|
[쿠버네티스] 서비스와 인그레스 (0) | 2023.08.20 |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_아키텍처 (0) | 2023.08.16 |
[도커] 도커의 중요성 및 관리 (0) | 2023.06.18 |
쿠버네티스란? [개요] (0) | 202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