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Shell
- 프로그래밍기초
- spring
- 제이쉘
- JAVA기초
- 초보코딩탈출
- 스프링 기초
- 데이터베이스
- Elk
- 프로그래밍언어
- 기초코딩
- 스프링
- eclips
- 초보코딩
- Git
- Java
- 자바기초
-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자바 스프링
- 컴퓨터과학개론
- github
- 리눅스
- 자바
- 배열
- 이클립스
- 클래스
- 코딩초보
- 메소드
- 자바프로그래밍
- Today
- Total
키보드워리어
[자바]Array 배열 - 기초 본문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입니다.
배열이 왜 필요한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이름과 점수를 가진 클래스를 생성해줍니다.
String name;
int mark;
점수의 합을 알고 싶을 때, 또는 점수를 추가하고 싶거나 삭제하고 싶을때 유용하게 할 수 없을까요?
이럴 땐 배열을 이용하면 편합니다.
- marks는 배열입니다. [] 기호 보이시죠?
- marks 배열은 다중 int값을 가졌습니다.
- marks는 3가지 값을 가진 배열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index가 0부터 시작한단 점입니다. 저는 처음 배울 때 이게 헷갈리더라고요.
위에 경우엔 index는 0 to 2이며 length는 3인 거죠. makrs [0]부터 [2]까지 검색으로 실제 값을 찾아볼 수 있어요.
배열 정의 후 요소(=점수, marks)를 구성했다면 배열을 통해서 반복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배열에 반복문을 설정하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sum값을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Marks배열 안에 mark에 대해 실행을 반복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기호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출력값, 오른쪽에는 배열이 들어갑니다.
여기서 int mark는 반복제어변수로, 이 타입은 연결되는 array타입과 같아야 합니다.
이런 구조를 Enhanced for loop (강화된 반복문)이라고 합니다.
조금 딥하게 살펴보면
굳이 처음 [] 배열 안에 개수를 지정하지 않아도 돼요.
요소가 아무것도 없어도 되고 수없이 많은 값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구문의 왼쪽에는 배열의 타입, 오른쪽에는 콘텐츠 내용이 들어간다 생각해 주세요
배열의 타입과 크기만 정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각 marks2 [인덱스]마다 따로 불러서 할당해 주기도 가능합니다. 대괄호 [] 안에 들어가는 게 인덱스 정보죠.
'JAVA >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배열 Arrays - for enhanced loop문 및 유용 메서드소개 (0) | 2023.02.12 |
---|---|
[자바] 배열Array 활용 - Object, 원시자료형, toString()메서드 (0) | 2023.02.09 |
[자바] Date - LocalDate, LocalTime, LocalDateTime (0) | 2023.02.05 |
[자바] Wrapper 클래스 - 생성메서드 valueOf, AutoBoxing - 5 (0) | 2023.02.02 |
[자바] 참조자료형 - StringBuffer와 StringBuilder의 차이 - 4 (0) | 202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