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워리어

【AWS】클라우드 서비스 aws에 대한 포스팅 본문

개발 관련/AWS 정리

【AWS】클라우드 서비스 aws에 대한 포스팅

꽉 쥔 주먹속에 안경닦이 2022. 8. 10. 12:20
728x90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블로그 방문자 여러분, 안경닦이입니다.



오늘은 AW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WS란?

AWS는 Amazon Web Service에 약칭으로
클라우드 아키텍처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AWS의 등장은 원래 기존 클라우드
서버들을 대체해줄 만큼 획기적이었습니다.


물리적인 서버들을 관리한 IDC 센터에는
서버 컴퓨터 계약부터 운용까지 1달가량이
걸리는 오래 걸리는 일이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효율을 낼 수 있는
AWS는 현재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회사에서 관리해야 했던 컴퓨터들을 클라우드 회사에서 직접 관리하게 되었어요.

 

클라우드 회사에서는 가상화 기술을 바탕으로 해서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설루션을 만들어 냈습니다.

 

그렇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본인의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클라우드의 컴퓨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거죠!

 

예시화면

온라인으로 손쉽게 서버 컴퓨터를 빌리는 것을 서버 호스팅이라고 합니다.

요새 IT 서비스를 하기 위해선 서버 호스팅을 필수적인 과정으로 거치게 됩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같은 특정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도 제공해줍니다.

database예시화면

 

원래 서버 컴퓨터를 직접 구비했을 때는 컴퓨터에 접속해서

직접 네트워크 설정과 방화벽 설정을 작업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서버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관련 작업을 진행하는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있었어요.

 

하지만 클라우드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도 네트워크 설정들을 전부 작업할 수 있게 됐죠.

(컴퓨터에 일일이 직접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네트워크 및 보안 설정화면

AWS는 이미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주고 있어서,

개발자들 입장에선 더 빠르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비슷한 클라우드로 구글의 GCP,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등이 있어요.

IT 기업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는 오늘 배우는 AWS입니다!

 

 

그래서 보통 백엔드 개발자를 채용할 때 기업의 자격 요건을 보면

AWS를 잘 다루는 것도 포함되어 있어요.😁😅

 

AWS의 특징

아마존 닷컴은 1995년 웹서버와
데이터 벡엔드를 가지는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작했습니다.


2001년 아마존에서 주요한
아키텍처의 변화가 있었는데

2 티어 기반에서 서로 다른 응용프로그램
기능을 제공하는 분산 서비스 플램폼으로의
변화입니다.

구조 그림




AWS는 이런 아마존이 사용하던
인프라를 그대로 서비스로 만들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을 만드는 프로그래머에게
여러 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하나하나를 세세하게 구분하여 블록화 시켰고
이 블록들 가운데서 나에게 필요한 서비스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AWS의 큰 장점입니다.


AWS의 운용방식

AWS는 데이터 센터를 리전(Region)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리전을 전 세계 26개 운용하며,
리전 내에 84개의 가용 영역(Zone)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서비스하려고 하는 지역과
가까운 곳의 리전을 사용하면


사용자들에게 좀 더 빠른 속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AWS에서 Cloud front 서비스는
이러한 접근을 빨리 할 수 있도록
캐시를 글로벌하게 저장해두기도 하죠.

AWS의 서비스 현황

AWS에서 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computing EC2, 스토리지 및 콘텐츠 제공인 S3, 아마존 RDS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습니다.

본인이 운영해야 하는 서비스에 맞게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위에 서비스들은 하나하나 재미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서
배우면 배울수록 업그레이드 해지는 모습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어때요, 설명만 들어도 벌써 재밌지 않나요?



간단한 AWS 소개를 마치며 다음엔
AWS에 대한 포스팅으로
S3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